▶ 원목



    1. 원목(Solid Wood)의 특징 - 원목은 나무를 베어낸 상태를 말하며,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
    -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다.
    - 흡음률이 있어 방음재로 적당하다.
    - 종류가 다양하며, 열전도율이 작다.
    - 표면질감이 좋고, 나뭇결이 아름답다.
    - 건조시간이 길다.
    - 내습성에 약해 잘 썩는다.
    - 수축 팽창하여 변형(갈라짐, 휨)이 잘 된다.
    - 타 재료에 비해 내구성이 약하고, 잘 탄다.
    - 표면이 고르지 못해 재료활용률이 떨어진다(옹이, 갈라짐, 썩은 곳)




    2. 원목의 구조
    - 심재(心材): 나무의 가장 가운데에 있는 수심과 그것을 둘러싼 안쪽 부분
    - 변재(邊材): 심재를 둘러싼 바깥 부분
    - 껍질: 가장 바깥쪽에 위치
    - 나이테: 전체에 퍼져 있음 이 중에서 가구재로 많이 쓰이는 부분은 심재로 단단하며, 무겁고, 변재보다 색이 진하며, 변형이 적고 질이 우수함





    3. 가구 제작에 사용되는 원목의 종류별 특징


    이미지
    느티나무

    - 특징 : 습기 많은 땅에서 잘 자라고 높이와 나무의 지름이 약 3m에 이르며, 색상은 황토빛에 나뭇결이 선명하여 아름다움. 접착성은 좋으나 도장성은 보통, 단단하며, 광택이 우수하여 가구 재나 목공예품을 비롯한 건축, 악기, 선박 등의 재료로도 널리 쓰임.
    - 가구 : 단단하고 목리가 아름다워 조선시대의 소반, 장, 농 등에 많이 쓰였음



    이미지
    단풍나무

    - 특징 : 활엽수로 목질이 단단하고 좋으며, 무늬가 아름다움. 조직이 균일하고 치밀하여 가구재나 조각재 또는 집성목과 무늬목으로도 사용됨.
    - 가구 : 밝은 색으로 단단하고 무늬가 은은하여 탁자의 상판이나 소반, 그릇 등에 사용됨.



    이미지
    물푸레나무

    - 특징 : 흔히 애쉬 (ash)로 불리는 물푸레나무는 활엽수로 재질이 단단하고 결이 곧은 편임. | 황백색이며 복리가 거칠지만 착색과 도장이 용이하고, 접착성은 보통, 질겨서 공구의 손잡이 나 합판제조에 주로 사용되며, 유럽산 애쉬가 미국산 애쉬보다 질긴 편임.. 휨 가공성이 용이하여 주 로 테이블 상판 같은 판재 및 가구재로 사용
    - 가구 : 단단하고 복리가 선명하여 테이블이나 거실장에 사용



    이미지
    참죽나무

    - 특징 : 활엽수로 결이 곧고 단단함. 수축 및 흡수성이 작으며, 휠 가공성이 양호함. 도장성은 우 수하나 접착성은 보통으로, 고급장식이나 조각, 불교 용품을 비롯한 가구 및 건축재로 사용 - 가구 : 단단하고 복리가 뚜렷하여 테이블, 거실장, 콘솔 등에 사용



    이미지
    티크

    - 특징 : 처음 가공 시에는 짙은 노란색이며 점차 갈색으로 변함, 복리가 조밀하며, 정교하고, 방 향성 향기가 나서 주로 고급 가구에 많이 쓰임. 수축률이 적고 가공하기 쉬우며, 강도가 강해 구 조용재로서의 효율이 높음. 또한, 금속과의 접촉 시 부식이 없어 선박재로도 많이 쓰임. 다만, 표 면에 기름기가 많아 접착제를 바를 경우에는 기름을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음.
    - 가구 : 고급가구재로 장롱이나 화장대, 콘솔 등에 사용



    이미지
    호두나무

    - 특징 : 밝은 회갈색에서 어두운 갈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, 심재와 변재의 구분이 명확함. 연륜계는 불분명하며, 조직이 거칠고, 내구성 및 약제 주입성이 불량한 반면 광택이 강하며, 가볍고 접착성이 우수함. 주로 고급가구, 건축내장재, 기계, 운동구, 악기 등에 사용
    - 가구 : 목리가 아름다워 서랍장, 티테이블 등의 고급가구재로 사용



    이미지
    소나무

    - 특징 : 목리가 뚜렷하고 심재와 변재의 구분도 명확함. 가볍고 인장강도가 약하나 도장성과 접 착력은 강해 파티클보드(BP) 제작에 용이하여 집성목에 많이 쓰이며, 건축내장재와 포장, 가구, 합판제작에 주로 사용
    - 가구 : 잣나부인 홍송과 북아메리카에서 생산되는 더글러스 소나무인 미송이 가구제작에 주로 사용되며, 복리가 아름답고 가공이 용이하여 DIY가구 및 어린이용 가구재료로 많이 사용




    4. 원목의 도장

    1) 천연오일
    - 가구를 닦을 때 마른 천으로 문지르거나 오일을 발라 문지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목재의 색상이 진해져 자연미가 돋보임.
    -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므로 목재가 살아 있다고 할 수 있음
    - 천연오일 도장은 가격이 비싸고, 손질의 번거로움과 난방문제로 인한 원목의 수축·팽창 등으로 인해 주로 고급가구에 사용
    -근대 국내에서는 옻칠, 동백기름, 식용류 등을 사용했으나 현대에는 각종 식물(송진, 오렌지, 레 본 등)에서 채취한 성분으로 만든 오일이 독일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수입

    2) 옻칠
    -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을 이용하여 만든 천연도료
    - 내구성이 강하고, 습기를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가구는 물론 식기에도 사용
    - 종류: 생칠과 정제칠(흑칠, 투명칠)로 분류
    - 특징: 변색되지 않으며, 광택이 우수함
    도막이 우수하고, 방충성과 절연성이 뛰어남
    방부성과 방수성이 우수하나, 건조시간이 오래 걸림

    3) 캐슈(Cashe)
    - 캐슈 너트(cashew nut)라는 열매에서 나온 물질과 포르말린을 섞어 만들어 붙여진 이름
    - 옻칠보다 도장과정이 단순하고 저렴함
    - 옻칠과 유사하여 표면 품질과 밀착성 및 광택이 우수
    - 제작 시 옻이 오르지 않아 좋으며, 금속표면 도장도 뛰어남
    - 냄새가 좋지 않음

    4) 래커 (Lacquer)
    - 용제증발에 의해 도막이 형성되며, 투명한 것을 비롯하여 색상이 다양
    - 천연 오일과 달리 목재의 표면이 거칠어도 흠이 잘 보이지 않아 사포작업을 320방까지 해도 무방
    - 가구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표면에 바르는 도장의 일부로 건조 시간이 짧고, 오래감
    - 목재 표면에 영구적인 막을 형성하여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지 않도록하여 내구성 및 경도가 우 수하며, 가격은 저렴
    - 손때나 오염이 잘 되고, 목재의 색상이 변하지 않아 자연미가 떨어지는게 단점
    - 주로 가구 및 건축내장재에 사용
    - 도료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아토피와 같은 피부병이나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

    5) 우레탄도장
    - 경화제를 섞어 바르므로 건조가 빠르며, 광택이 우수
    - 도장 두께도 좋고 표면이 매끈하며, 열과 스크래치 및 오염에 강하고 강도가 높음
    - 우레탄도장에는 유변성형, 습기경화형 그리고 2액형이 있는데, 가구에 쓰이는 것은 두 가지 용 액을 혼합한 2액형 우레탄으로 부착성과 광택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쌈
    -탁자나 가구의 문짝 또는 자동차나 건물의 옥상에 방수처리 시 사용

    [출처] 조숙경, 가구재료학』, 기문당(2012)

스크롤-업!
스크롤-다운!